햄코딩
[혼공네트] 1주차_OSI 7계층과 TCP/IP 본문
📌OSI 모델 및 TCP/IP 모델 차이점을 정리하고, 이를 바탕으로 네트워크 계층 구조를 작성해 보기(p. 62 참조)
OSI 모델 (Open Systems Interconnection Model)
- 7계층 구조
- 응용 계층 (Application Layer): 사용자와 네트워크 소프트웨어 상호작용 (HTTP, FTP)
- 표현 계층 (Presentation Layer): 데이터 형식 변환, 암호화 (JPEG, ASCII)
- 세션 계층 (Session Layer): 세션 관리 및 유지 (RPC, SQL)
- 전송 계층 (Transport Layer):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 (TCP, UDP)
- 네트워크 계층 (Network Layer): 데이터 경로 설정, 라우팅 (IP)
- 데이터 링크 계층 (Data Link Layer): 데이터 프레임 전송, 에러 검출 (Ethernet, MAC 주소)
- 물리 계층 (Physical Layer): 물리적 매체를 통한 데이터 전송 (케이블, 신호)
- 특징
- 이론적 모델로서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구조화
- 각 계층은 독립적이며, 인접한 계층과만 인터페이스
TCP/IP 모델 (Transmission Control Protocol/Internet Protocol)
- 4계층 구조
- 응용 계층 (Application Layer): OSI 모델의 응용, 표현, 세션 계층 통합 (HTTP, FTP, SMTP)
- 전송 계층 (Transport Layer):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 (TCP, UDP)
- 인터넷 계층 (Internet Layer): 데이터 패킷 전송, 라우팅 (IP)
- 네트워크 액세스 계층 (Network Access Layer): 데이터 프레임 전송, 물리적 매체 (Ethernet, MAC 주소)
- 특징
- 실용적인 모델로서 인터넷 프로토콜을 정의
- 실제 인터넷 및 네트워크에서 사용
OSI 모델과 TCP/IP 모델 차이점

- 계층 수: OSI는 7계층, TCP/IP는 4계층
- 계층 통합: OSI는 각 계층이 독립적, TCP/IP는 OSI의 여러 계층을 통합
- 적용 범위: OSI는 이론적 모델, TCP/IP는 실제 적용 모델
- 표준화 기관: OSI는 ISO에서 개발, TCP/IP는 DoD(미 국방부)에서 개발
📌 Ch.01 (01-1) 확인 문제 2번 (p.35)
답: 1
해설:
프로그램은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장치와 상호 작용하며 실행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네트워크에 대한 이해는 프로그램을 만드는 과정에서 도움을 준다.
📌 Ch.01 (01-3) 확인 문제 2번 (p.73)
답: LAN, WAN
해설:
[범위에 따른 네트워크 분류]
WAN (Wide Area Network): 먼 지역을 연결하는 광역 통신망
LAN (Local Area Network): 가까운 지역을 연결한 근거리 통신망
'혼공단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혼공네트] 4주차_전송계층 (0) | 2024.07.28 |
---|---|
[혼공네트] 3주차_네트워크 계층 (0) | 2024.07.20 |
[혼공네트] 2주차_물리 계층과 데이터 링크 계층 (0) | 2024.07.1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