햄코딩
[혼공네트] 4주차_전송계층 본문
Chapter 04. 전송 계층
전송계층은 네트워크 계층의 한계를 보완하고 응용 계층과의 연결점을 제공하는 계층
📌 Ch.04(04-1) 확인 문제 1번(p.206): IP와 연관된 통신 특성
- IP (네트워크 계층)의 특성
- 신뢰할 수 없는 통신
- 비연결형 통신
- 전송계층
- 신뢰성과 연결성을 확보하여 IP의 한계를 극복
- 포트 번호를 통해 응용 계층의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스들을 식별하는 역할 수행
- TCP (Transmission Control Protocol)
- 연결형 통신을 지원하는 대표적인 전송 프로토콜
- 연결형 통신: 두 호스트가 정보를 주고받기 전에 마치 가상의 회선을 설정하듯이 연결을 수립
- 신뢰성 확보: 패킷이 수신지까지 올바른 순서대로 전달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재전송을 통한 오류 제어, 흐름 제어, 혼잡 제어 등의 기능 제공
📌 Ch.04 (04-2) 확인 문제 2번(p.225): TCP 쓰리웨이 핸드셰이크
- TCP는 Three-Way Handshake로 연결을 수립한다.

📌 작업 관리자에서 프로세스별 PID 확인해 보기

'혼공단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혼공네트] 3주차_네트워크 계층 (0) | 2024.07.20 |
---|---|
[혼공네트] 2주차_물리 계층과 데이터 링크 계층 (0) | 2024.07.14 |
[혼공네트] 1주차_OSI 7계층과 TCP/IP (0) | 2024.07.06 |